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투자꿀팁

S&P 500 ETF, 워런 버핏이 유언으로 남긴 단 하나의 투자처

by 갓부 2025. 8. 16.

🚨 투자 유의사항 안내: 본 글은 특정 상품에 대한 매수 추천이나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닙니다. 모든 금융 상품은 원금 손실의 위험이 있으며,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의 최종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처음 투자를 시작했을 때, 세상에는 너무나도 많은 투자 '비법'들이 있었습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혼란스럽던 저에게 등대와 같은 길을 알려준 것은, 역설적이게도 '종목을 고르지 말라'는 워런 버핏의 조언이었습니다. 세계 최고의 투자자가 "내가 죽으면 재산의 90%를 S&P 500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라"는 유언을 남겼다는 사실을 알게 된 순간, 저는 투자의 본질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왜 그가 이런 말을 남겼는지, 그리고 S&P 500 ETF가 우리 같은 평범한 투자자에게 최고의 선택 중 하나가 될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워런 버핏의 투자 철학과 장기적으로 우상향해 온 S&P 500 지수의 역사

1. S&P 500, 도대체 무엇인가요? (미국 경제 국가대표팀)

S&P 500은 특정 기업의 이름이 아닙니다. 신용평가사 'Standard & Poor's'가 선정한, 미국 주식 시장을 대표하는 500개 우량 기업의 주가를 종합하여 만든 '주가 지수(Index)'입니다.

쉽게 말해, '미국 경제 국가대표팀의 성적표'와 같습니다. 이 팀에는 우리가 이름만 들어도 아는 세계적인 선수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엔비디아, 구글, 코카콜라, 맥도널드 등이죠. 우리가 S&P 500 ETF 1주를 산다는 것은, 이 위대한 500개 기업의 지분을 아주 조금씩, 한 번에 모두 사는 것과 같은 의미입니다.

미국 경제를 대표하는 500개 우량 기업에 분산 투자하는 S&P 500의 특징

2. 워런 버핏은 왜 'S&P 500'을 선택했을까?

세계 최고의 종목 선정 전문가가 '종목을 고르지 말고 시장 전체를 사라'고 말한 이유는 명확합니다.

  • '이유 1: 미국 경제의 장기적인 성장에 대한 믿음'. S&P 500에 투자하는 것은 개별 기업이 아닌, '미국 자본주의 시스템' 전체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수많은 위기 속에서도 끊임없이 혁신하며 장기적으로 우상향해 온 미국 경제의 성장에 올라타는 가장 확실한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 '이유 2: 완벽한 분산 투자'. 단 하나의 상품을 사는 것만으로, 기술, 금융, 헬스케어, 소비재 등 수십 개의 산업에 걸쳐있는 500개 기업에 자동으로 분산 투자가 됩니다.
  • '이유 3: '시장을 이기려는' 노력의 헛됨을 증명'. 워런 버핏은 'S&P 500 인덱스 펀드가 10년 동안 헤지펀드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낼 것'이라는 유명한 내기를 진행했고, 결과는 그의 압승이었습니다. 이는 전문가들조차 장기적으로 시장 평균 수익률을 이기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증명하는 사례입니다. (출처: Fortune Magazine 등 주요 외신 보도)

S&P 500 인덱스 펀드가 헤지펀드보다 장기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보였음을 나타내는 비교 그래프

3. S&P 500 ETF, 그래서 어떻게 투자하나요?

과거에는 미국 주식에 직접 투자하기 어려웠지만, 지금은 국내 증권사 앱을 통해 너무나도 쉽게 S&P 500 ETF를 살 수 있습니다.

  • '대표 상품 예시': 국내 증권사들이 운용하는 `TIGER 미국 S&P500`, `KINDEX 미국 S&P500` 등이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어떤 상품을 선택해도 추종하는 지수는 같으므로 큰 차이는 없습니다.
  • '최고의 투자 전략': 지난 글들에서 계속 강조했던 것처럼, 'ISA'나 'IRP'와 같은 절세 계좌를 통해, '적립식'으로 꾸준히 사 모으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4.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의해야 할 점

S&P 500이 훌륭한 투자처인 것은 맞지만, '무조건 오르기만 하는' 자산은 절대 아닙니다.

  • '단기 변동성': 역사적으로 S&P 500 지수 역시 -30%, -50%에 달하는 끔찍한 하락장을 여러 번 겪었습니다. 반드시 단기적인 손실을 감내할 수 있는 '장기적인 관점'으로 투자해야 합니다.
  • '환율 변동 위험': 우리는 원화(KRW)로 미국 자산(USD)에 투자하는 것이므로, 달러 환율의 변동에 따라 최종 수익률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 S&P 500 지수에도 단기적인 폭락의 위험이 있음을 보여주는 그래프

저 역시 투자 포트폴리오의 가장 큰 비중을 S&P 500 ETF에 두고, 매달 꾸준히 사 모으는 것을 핵심 투자 전략으로 삼고 있습니다. 종목을 고르는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미국이라는 위대한 경제 시스템에 편안하게 올라타는 것. 이것이 워런 버핏이 우리 같은 평범한 투자자에게 알려준 가장 위대한 지혜일 것입니다.